 |
≪추구집 강의 06 - 日月籠中鳥≫
|
日月籠中鳥 |
해와 달은 새장 속의 새요 |
날 일, 달 월, 새장 롱, 가운데 중, 새 조 |
乾坤水上萍 |
하늘과 땅은 물위의 부평초라네. |
하늘 건, 땅 곤, 물 수, 위 상, 부평초 평 |
白雲山上蓋 |
흰 구름은 산 위의 일산(日傘, 양산) 이요 |
흰 백, 구름 운, 뫼 산, 위 상, 덮을(일산) 개 |
明月水中珠 |
밝은 달은 물 속의 구슬이로다. |
밝을 명, 달 월, 물 수, 가운데 중, 구슬 주 |
≪추구집 강의 07 - 月爲宇宙燭≫
月爲宇宙燭 |
달은 우주의 촛불이 되고 |
달 월, 될 위, 집 우, 집 주, 촛불 촉 |
風作山河鼓 |
바람은 산과 강의 북이 되네. |
바람 풍, 지을 작, 뫼 산, 강 하, 북 고 |
月爲無柄扇 |
달은 자루 없는 부채가 되고 |
달 월, 될 위, 없을 무, 자루 병, 부채 선 |
星作絶纓珠 |
별은 끈 끊어져 흩어진 구슬이 되네. |
별 성, 지을 작, 끊을 절, 갓끈 영, 구즐 주 |
≪추구집 강의 08 - 雲作千層峰≫
雲作千層峰 |
구름은 천 층의 봉우리가 되고 |
구름 운, 지을 작, 일천 천, 층 층, 봉우리 봉 |
虹爲百尺橋 |
무지개는 백 척의 다리가 되는구나. |
무지개 홍, 될 위, 일백 백, 자 척, 다리 교 |
秋葉霜前落 |
가을 잎은 서리 내리기 전에 떨어지고 |
가을 추, 잎 엽, 서리 상, 앞 전, 떨어질 락 |
春花雨後紅 |
봄 꽃은 비 내린 뒤에 붉어진다. |
봄 춘, 꽃 화, 비 우, 뒤 후, 붉을 홍 |
≪추구집 강의 09 - 春作四時首≫
春作四時首 |
봄은 사계절의 처음이 되고 |
봄 춘, 지을 작, 넷 사, 때 시, 머리 수 |
人爲萬物靈 |
사람은 만물의 영장이 되도다. |
사람 인, 될 위, 일만 만, 사물 물, 신령스러울 령 |
水火木金土 |
수·화·목·금·토는 오행(五行)이요 |
물 수, 불 화, 나무 목, 쇠 금, 흙 토 |
仁義禮智信 |
인·의·예·지·신은 오상(五常)이라네. |
어질 인, 옳을 의, 예도 례, 지혜 지, 믿을 신 |
≪추구집 강의 10 - 天地人三才≫
天地人三才 |
하늘·땅·사람은 삼재요 |
하늘 천, 땅 지, 사람 인, 석 삼, 재주 재 |
君師父一體 |
임금과 스승과 부모는 한 몸과 같다. |
임금 군, 스승 사, 아비 부, 한 일, 몸 체 |
天地爲父母 |
하늘과 땅은 부모가 되고 |
하늘 천, 땅 지, 될 위, 아비 부, 어미 모 |
日月似兄弟 |
해와 달은 마치 형제와 같구나. |
해 일, 달 월, 같을 사, 맏 형, 아우 제 |
≪추구집 강의 11 - 夫婦二姓合 ≫
夫婦二姓合 |
부부는 두 성이 합한 것이요 |
지아비 부, 아내 부, 두 이, 성 성, 합할 합 |
兄弟一氣連 |
형제는 하나의 기운이 이어진 것이다. |
맏 형, 아우 제, 한 일, 기운 기, 이을 련 |
父慈子當孝 |
부모는 사랑하고 자식은 마땅히 효도해야 하며 |
아비 부, 사랑할 자, 아들 자, 마땅할 당, 효도 효 |
兄友弟亦恭 |
형은 우애하고 아우 또한 공손해야 한다. |
맏 형, 우애 있을 우, 아우 제, 또 역, 공손할 공 |
≪추구집 강의 12 - 父母千年壽 ≫
父母千年壽 |
부모는 천년의 장수를 누리시기를 기원하고 |
아비 부, 어미 모, 일천 천, 해 년, 오래 살 수 |
子孫萬世榮 |
자손은 만 대의 영화를 누리기를 바란다. |
아들 자, 손자 손, 일만 만, 세상 세, 영화로울 영 |
愛君希道泰 |
임금을 사랑하여 도가 태평할 것을 바라고 |
사랑할 애, 임금 군, 바랄 희, 이치 도, 편안할 태 |
憂國願年豊 |
나라를 걱정하여 해마다 풍년들길 원한다. |
근심할 우, 나라 국, 원할 원, 해 년, 풍성할 풍 |
|
≪추구집 강의 13 - 妻賢夫禍少≫
妻賢夫禍少 |
아내가 어질면 남편의 재앙이 적고 |
아내 처, 어질 현, 지아비 부, 재앙 화, 적을 소 |
子孝父心寬 |
자식이 효도하면 부모의 마음은 너그러워진다. |
아들 자, 효도 효, 아비 부, 마음 심, 너그러울 관 |
子孝雙親樂 |
자식이 효도하면 두 분 어버이가 기뻐하시고 |
아들 자, 효도 효, 쌍 쌍, 어버이 친, 즐거울 락 |
家和萬事成 |
집안이 화목하면 모든 일이 잘 이루어진다. |
집 가, 화목할 화, 일만 만, 일 사, 이룰 성 |
≪추구집 강의 14 - 思家淸宵立≫
|
思家淸宵立 |
집 그리워 맑은 밤에 서 있고 |
생각할 사, 집 가, 맑을 청, 밤 소, 설 립 |
憶弟白日眠 |
아우 생각에 대낮에도 졸고 있다. |
생각할 억, 아우 제, 날이 샐 백, 날 일, 잠잘 면 |
家貧思賢妻 |
집이 가난하면 어진 아내를 생각하고 |
집 가, 가난할 빈, 생각할 사, 어질 현, 아내 처 |
國亂思良相 |
나라가 어지러우면 어진 재상을 생각한다. |
나라 국, 어지러울 란, 생각할 사, 어질 량, 재상 상 |
≪추구집 강의 15 - 綠竹君子節≫
綠竹君子節 |
푸른 대나무는 군자의 절개요 |
푸를 록, 대나무 죽, 임금 군, 아들 자, 절개 절 |
靑松丈夫心 |
푸른 소나무는 장부의 마음이로다. |
푸를 청, 소나무 송, 어른 장, 사나이 부, 마음 심 |
人心朝夕變 |
사람의 마음은 아침저녁으로 변하지만 |
사람 인, 마음 심, 아침 조, 저녁 석, 변할 변 |
山色古今同 |
산 빛은 예나 지금이나 한가지로구나. |
뫼 산, 빛 색, 옛 고, 이제 금, 같을 동 |
≪추구집 강의 16 - 江山萬古主≫
江山萬古主 |
강산은 만고의 주인이요 |
강 강, 뫼 산, 일만 만, 옛 고, 주인 주 |
人物百年賓 |
사람은 백년의 손님이로다. |
사람 인, 만물 물, 일백 백, 해 년, 손님 빈 |
世事琴三尺 |
세상일은 석 자 거문고에 실어 보내고 |
세상 세, 일 사, 거문고 금, 석 삼, 자 척 |
生涯酒一盃 |
생애는 한 잔 술로 달래네. |
살 생, 끝 애, 술 주, 한 일, 잔 배 |
≪추구집 강의 17 - 山靜似太古≫
|
山靜似太古 |
산이 고요하니 태고와 같고 |
뫼 산, 고요할 정, 같을 사, 클 태, 옛 고 |
日長如少年 |
해는 길어서 소년과 같구나. |
날 일, 길 장, 같을 여, 적을 소, 나이 년 |
靜裏乾坤大 |
고요함 속에서 하늘과 땅의 큼을 알겠고 |
고요할 정, 속 리, 하늘 건, 땅 곤, 큰 대 |
閒中日月長 |
한가로운 가운데 세월의 긺을 느끼네. |
한가할 한, 가운데 중, 날 일, 달 월, 길 장 |
≪추구집 강의 18 - 耕田埋春色≫
|
耕田埋春色 |
밭을 갈며 봄빛을 묻고 |
밭갈 경, 밭 전, 묻을 매, 봄 춘, 빛 색 |
汲水斗月光 |
물을 길으며 달빛을 함께 뜨네. |
물길을 급, 물 수, 말 두, 달 월, 빛 광 |
西亭江上月 |
서쪽 정자에는 강 위로 달이 뜨고 |
서녘 서, 정자 정, 강 강, 위 상, 달 월 |
東閣雪中梅 |
동쪽 누각엔 눈 속에 매화가 피었구나. |
동녘 동, 누각 각, 눈 설, 가운데 중, 매화 매 |
≪추구집 강의 19 - 飮酒人顔赤≫
|
飮酒人顔赤 |
술을 마시니 사람의 얼굴이 붉어지고 |
마실 음, 술 주, 사람 인, 얼굴 안, 붉을 적 |
食草馬口靑 |
풀을 뜯으니 말의 입이 푸르구나. |
먹을 식, 풀 초, 말 마, 입 구, 푸를 청 |
白酒紅人面 |
백주(고량주)는 사람의 얼굴을 붉게 만들고 |
흰 백, 술 주, 붉을 홍, 사람 인, 얼굴 면 |
黃金黑吏心 |
황금은 벼슬아치의 마음을 검게 만드네. |
누를 황, 쇠 금, 검을 흑, 벼슬아치 리, 마음 심 |
≪추구집 강의 20 - 老人扶杖去≫
|
老人扶杖去 |
노인은 지팡이를 짚으며 가고 |
늙을 로, 사람 인, 붙들 부, 지팡이 장, 갈 거 |
小兒騎竹來 |
어린아이는 죽마(竹馬)를 타고 오는구나. |
작을 소, 아이 아, 말탈 기, 대나무 죽, 올 래 |
男奴負薪去 |
사내 종은 땔나무를 지고 가고 |
사내 남, 종 노, 질 부, 땔나무 신, 갈 거 |
女婢汲水來 |
여자 종은 물을 길어 오도다. |
계집 녀, 여자종 비, 물길을 급, 물 수, 올 래 |
≪추구집 강의 21 - 洗硯魚呑墨≫
|
洗硯魚呑墨 |
벼루를 씻으니 물고기가 먹물을 삼키는 듯 하고 |
씻을 세, 벼루 연, 물고기 어, 삼킬 탄, 먹 묵 |
煮茶鶴避煙 |
차를 끓이니 학이 연기를 피해 날아가는 듯 하구나. |
끓일 자, 차 다, 학 학, 피할 피, 연기 연 |
松作延客蓋 |
소나무는 손님 맞는 일산이 되고 |
소나무 송, 지을 작, 맞을 연, 손님 객, 덮을(일산) 개 |
月爲讀書燈 |
달은 글 읽는 등불이 되네. |
달 월, 될 위, 읽을 독, 글 서, 등잔 등 |
≪추구집 강의 22 - 花落憐不掃≫
|
花落憐不掃 |
꽃이 떨어져도 사랑스러워 쓸어내지 못하고 |
꽃 화, 떨어질 락, 어여삐 여길 련, 아닐 불, 쓸 소 |
月明愛無眠 |
달 밝으니 사랑스러워 잠 못 이루네. |
달 월, 밝을 명, 사랑할 애, 없을 무, 잠잘 면 |
月作雲間鏡 |
달은 구름 사이의 거울이 되고 |
달 월, 지을 작, 구름 운, 사이 간, 거울 경 |
風爲竹裡琴 |
바람은 대나무 숲 속의 거문고가 되네. |
바람 풍, 될 위, 대나무 죽, 속 리, 거문고 금 |
≪추구집 강의 23 - 弄花香滿衣≫
|
水月在手 |
물을 움켜쥐니 달은 손 안에 있고 |
움켜쥘 국, 물 수, 달 월, 있을 재, 손 수 |
弄花香滿衣 |
꽃을 희롱하니 향기가 옷에 가득하네. |
희롱할 롱, 꽃 화, 향기 향, 가득찰 만, 옷 의 |
五夜燈前晝 |
깊은 밤도 등불 앞은 대낮과 같고 |
다섯 오, 밤 야, 등잔 등, 앞 전, 낮 주 |
六月亭下秋 |
유월에도 정자 아래는 가을과 같구나. |
여섯 륙, 달 월, 정자 정, 아래 하, 가을 |
≪추구집 강의 24 - 歲去人頭白≫
|
歲去人頭白 |
세월이 가니 사람의 머리는 희어지고 |
해 세, 갈 거, 사람 인, 머리 두, 흰 백 |
秋來樹葉黃 |
가을이 오니 나뭇잎은 누렇게 물드는구나. |
가을 추, 올 래, 나무 수, 잎 엽, 누를 황 |
雨後山如沐 |
비 온 뒤의 산은 목욕을 한 듯 산뜻하고 |
비 우, 뒤 후, 뫼 산, 같을 여, 목욕할 욕 |
風前草似醉 |
바람 앞의 풀은 술 취한 듯 날리네. |
바람 풍, 앞 전, 풀 초, 같을 사, 취할 취 |
≪추구집 강의 25 - 人分千里外≫
|
人分千里外 |
사람은 천리 밖에 떨어져 있고 |
사람 인, 나눌 분, 일천 천, 거리 리, 바깥 외 |
興在一杯中 |
흥은 한 잔 술 속에 있구나. |
일어날 흥, 있을 재, 한 일, 잔 배, 가운데 중 |
春意無分別 |
봄 뜻은 분별이 없지만 |
봄 춘, 뜻 의, 없을 무, 나눌 분, 나눌 별 |
人情有淺深 |
인간의 정은 깊고 얕음이 있구나. |
사람 인, 정 정, 있을 유, 얕을 천, 깊을 심 |
|